ASD
ASD
ASD 자폐 범주성 장애_autism spectrum disorders

자폐 범주성 장애는 다음의 3가지 영역 중 적어도 2가지 영역에서 주요한 기능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모든 증후군을 망라하는 용어로 그 증상의 경중 정도는 다양합니다.

호혜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호혜적인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상상과 행동

대표적인 자폐 범주성 장애에 포함되는 진단으로는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으며, 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 syndrome)은 다른 자폐 범주성 장애와는 달리 일반 언어 즉 구어의 사용이 덜 지체되었으며 인지적인 능력도 자폐아동들 보다 더 높은 특성을 보입니다. 이들은 또한 제한된 주제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보이며, 이러한 관심은 그 정도가 심하여 다른 기능을 방해 할 정도입니다. 감정적인 면에서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다루는데 어려움이 있고, 감정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며, 빈약한 감정이입, 사회적 단서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어설픈 운동능력을 가졌으며, 괴상한 자세와 걸음걸이를 가지고 있고, 공간적 움직임에 대한 빈약한 인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자폐아동은 덜 사회적이고, 더 의식적으로 행동하고, 또 변화에 더 저항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폐 범주성 장애의 사회적 결함은 주요 특성이며, 사회성 결함은 그들의 전반적인 문제, 즉 기능적인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및 문제행동의 주된 원인이 되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개입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사회적 능력 결손
자폐장애 아동이 사회적으로 행동하지 못하는 것은 사회적 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이며, 특히 타인과 상호작용 형태로 관계를 맺고 다양한 상황적 요구에 적응해 가는 기술 결함이 두드러집니다. 자폐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처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만약 자폐장애 아동이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알고 타인과 적절히 상호작용 할 수 있다면 문제행동 역시 감소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인지 결손
대인관계에서 기능적인 상호작용이 되기 위해서는 언어적이든 비언어적이든 주고받는 말에서 상대방의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요소들의 본질을 파악하고 개념화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자폐장애 아동은 사람의 감정과 의도, 사회상황 및 사회적 단서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내며 이러한 사회적 인지의 결함은 자폐장애의 사회적 행동 전반에 걸친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사회적 인지는 언어적 비언어적인 사회적 정서적 단서를 자연스럽게 읽고 정확하게 해석하는 능력, 중심적-주변적인 사회적/정서적 정보를 인식하는 능력, 다양한 사회적 과제들(대화를 시작하는 법, 협상하는 법, 집단에 참여하는 법)에서 서로 다른 사회적 행동과 영향/결가에 대한 지식, 그리고 다른 사람의 정신 상태에 대한 적절한 추론을 하는 능력등이 포함됩니다.
ASD 치료제안